올해 10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공식적으로 윈도우10의 서비스 종료를 예고했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더 이상 보안 업데이트나 공식 지원을 제공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운영체제의 수명 종료는 소프트웨어 생태계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번 조치에서도 이전처럼 큰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문제의 핵심은 TPM 2.0(Trusted Platform Module) 요구사항입니다. 윈도우11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 하드웨어 보안 칩이 필수 조건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TPM 2.0이 없는 구형 컴퓨터 사용자들은 선택권 없이 새 하드웨어를 구매해야만 최신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단순히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차원을 넘어, 수백만 대의 구형 컴퓨터가 사실상 환경폐기물로 전환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결정은 기술적 진보라는 명분으로 포장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소비자에게 강제적인 비용 전가와 환경 파괴를 요구합니다. 기존 컴퓨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에도, TPM이라는 하드웨어 조건 하나 때문에 새 제품 구매를 강요당하는 현실은 옳은 방향으로 볼 수 없습니다.
혹시, 윈도우 11로 강제 업그레이드 전환 후 발생하는 모든 보안 침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상하는 것인가요?
이번 조치에서 지구의 생명을 위협하는 환경적 비용은 특히 심각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IT 폐기물은 매년 수천만 톤에 달하며, 그 처리 과정에서 유해물질 배출과 자원 낭비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유해 물질의 최종 소비자는 대부분 사회적 약자의 몫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조금 더 전향적인 접근을 택했다면, 예를 들어 TPM 2.0 미탑재 PC에서도 윈도우11 기능을 제한적으로 제공하거나, 가상화·보안 업데이트 대체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그것은 사회적 약자들을 보호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한 이번 결정은 기술 기업이 사용자 선택권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수익과 기술 생태계를 통제하는 사례를 보여줍니다.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강제되는 하드웨어 교체는, 소비자의 선택권 박탈이자 사회적 비용 전가를 필수적으로 동반합니다. 더구나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일상화된 시절에 이런 강제적인 조치는 과장된 액션입니다. 윈도우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기업의 보안 수준을, 모든 이들의 일상에 강요하는 것은 부당합니다.
결국 이번 윈도우10 서비스 종료와 윈도우11의 TPM 요구 조건은, 단순한 운영체제 지원 종료를 넘어 환경, 경제, 소비자 권리 측면에서 비판받아 마땅한 사안입니다. 기술 발전이 곧바로 ‘강제성’를 동반하는 절차로 이어질 필요는 없습니다. 이제라도 마이크로소프트가 좀 더 유연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마련한다면, 환경과 소비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길이 열릴 수 있을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 혁신이 언제나처럼 사용자의 의견을 재단하고, 환경 폐기물을 양산하는 방식이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전향적인 사고를 기원합니다.